10·15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80%가량 급감한 가운데, 경매로 내몰리는 아파트가 대폭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 거래·금융규제가 겹치면서 매매 시장에서 소화되지 못한 '대출 낀' 주택 매물이 경매 시장으로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압박 받는 서민 자산
13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올라온 올해 1~10월 서울의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다세대주택) 임의경매 신청 현황을 살펴보면 중저가 주택이 몰린 비강남권 지역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임의경매 건수 1위는 서대문구(454건)였으며 강서구(408건), 금천구(357건)가 2·3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송파구(299건) △강남구(283건) △서
사이다릴게임 초구(249건)가 이었다.
고가의 주택일수록 경매에 쉽게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집이 팔리지 않을 때 이자 부담을 버티지 못한 주택이 경매로 넘어가는 셈이다. 특히 지난 2020년 상반기부터 청년층을 중심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매매'가 유행처럼 번졌지만,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연체도 함께 증가한 양상이다. '이자
모바일야마토 만 내다가 집이 경매로 넘어갔다'는 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주현 지지옥션 전문위원은 "거래가 잘 되지 않던 지역의 주택들이 최근 토허구역으로 묶이면서 채무자들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며 "강남 등 주요 지역은 경매로 나온다고 해도 매각 자체가 상대적으로 원활하기 때문에 해결할 수 있지만, 침체된 곳은 엎친 데 덮친 격이 될 수
바다이야기부활 있다"고 말했다.
비강남권 주택은 경매에 부쳐도 낙찰가율이 강남권 대비 낮은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매 역시 강남과 비강남의 양극화가 심화된 상황"이라며 "채무자들 입장에서도 낙찰이 잘 안되거나 낙찰가가 낮으면 부담이 커지는데, 자기 지역이 거래도 안 되고 침체되면 마음을 졸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거래
황금성게임다운로드 묶이면 경매 물건 증가
정부는 10·15 부동산 대책에서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토허구역 등 3중규제 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로 인해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하는 '갭투자'가 사실상 원천 차단되자, 매수와 매도 수요는 급격히 위축된 모습이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는 10·15 대책 시행일인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11일까지
골드몽사이트 27일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320건으로, 직전 27일(9월 18일∼10월 15일) 1만254건 대비 77.4% 줄었다고 분석했다.
상황이 이렇자 부동산·경매 업계에서는 경매 신청 주택이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 매매 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하면 주택을 비교적 빠르게 처분해 대출 원금이나 이자를 상환할 수 있지만, 거래가 묶이고 시장이 침체되면 이자 부담을 버티지 못한 채 주택이 경매로 넘어가게 된다.
이는 집값이 상승하고 거래가 활발할 때 경매가 취하되는 현상과도 이어진다. 지난 2~3월 토허구역 해제와 재지정 시기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매도우위 시장이 형성되자, 일부 채무자들은 경매를 취하하거나 기일을 미루며 '버티기'에 들어가기도 했다. 거래가 잘될 것이라는 믿음이 생기면 경매 매각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도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에서다.
이 전문위원은 "경매로 매각이 예정됐다 하더라도 거래가 잘되는 시장이 형성돼 채권액을 다 갚을 정도라면, 경매가 아닌 매매로 처분하는 것이 채무자 입장에서도 다행인 일"이라고 말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