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밍키넷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인 사이트입니다. 주요 컨텐츠로는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스포츠토토, 토렌트 등이 있으며, 커뮤니티 활동은 제한적입니다. 사이트는 HTTPS 주소로 운영되며, 해외 서버를 통해 제공됩니다.
2. 접속
밍키넷은 HTTPS 주소를 사용하여 대한민국 내에서 한때 차단되지 않고 접속이 가능했으나, 2018년 이후 정부의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정책에 따라 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PC나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을 위해 우회 경로를 사용해야 하며, 해외 서버로 운영되고 있어 국내 규제에 대해 자유롭습니다
3.합법인가 불법인가
해외에서는 명백히 합법인 사이트로, 성인 컨텐츠가 허용되는 국가에서는 법적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HTTPS 차단 이후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됩니다. 대한민국은 포르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밍키넷 역시 준 불법 사이트로 취급됩니다.
키워드: 밍키넷, 성인 사이트,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VPN 우회, HTTPS 차단, 불법 사이트, 해외 서버, 대한민국 법, 포르노, 웹툰, 스포츠토토, 밍키넷 주소, 71
윤석열 전 대통령. 2025.9.26/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서울=뉴스1) 서한샘 기자 = 윤석열 정부 경호처 실세로 불렸던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담당자들로부터 '비화폰 기록 삭제 지시가 위법'이라는 취지의 보고서를 받은 뒤 지우라고 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은 경호처에 비화폰 기록 삭제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2차 체포영장 집행 전 대통령경호처 직원들에게 "(경찰이) 밀고 들어오면 아작 난다고 느끼게 위력 순찰을 하라"고 말한 사실도 드러났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부(부장판사 백대현)는 14일 윤 전 대통령의 특수 공
바다이야기릴게임 무집행 방해 등 혐의 재판을 열고 경호처 직원에 대한 증인심문을 진행했다.
오후 증인으로 나온 경호처 기술정보과 직원 박 모 씨는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지난해 12월 7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의 비화폰 통화기록을 삭제하라'는 김 전 차장의 지시가 위법하다고 생각했다고 증언했다.
이에 박 씨는 당시 김대경 전
야마토게임하기 경호처 본부장, IT 계획부장이었던 김 모 씨와 함께 증거인멸 소지가 있다는 등의 내용으로 김 전 차장에게 보고서를 올렸다고 한다.
박 씨는 당시 보고서를 본 김 전 차장의 반응에 대해 "화내고 집어던지면서 '증거를 남기려고 이런 걸 만들었냐. 흔적을 남기려고 했냐. 당장 갈아버리고 문서를 지워라'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골드몽게임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 2025.11.11/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이날 재판에서는 경호처 부장급 직원 이 모 씨가 지난 1월 11일 윤 전 대통령과의 경호처 직원 오찬 뒤 대화 내용을 복기하며 적어둔 카카오톡 메시
바다이야기사이트 지도 공개됐다. 이 씨는 오찬이 끝나자마자 카카오톡 '나에게 보내기' 기능을 통해 기억나는 대로 당시 상황을 기록해 놓았다고 했다.
이 씨는 "경호본부원으로 25년째 재직하면서 저도 여러 가지 가치관이 있다"며 "이 상황에서 몇 가지 사항들은 문제가 될 수 있고 향후 이런 자리에 불려 나올 수 있을 것 같아서 그럴 때 기록을 남길 수 있는
손오공릴게임예시 건 남겨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공개된 메시지에는 윤 전 대통령의 발언이 주로 담겨 있었다. 이 씨의 기록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당시 '계엄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으로 경고용이었다. 국회의원 체포하면 어디에 가두냐? 관련 뉴스는 다 거짓말이다. 내가 검사로써 수사 및 체포로 밥 먹고 살았는데 하려면 그렇게 하겠는가?'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 '경호처가 나의 정치적 문제로 고생이 많다. 밀고 들어오면 아작 난다고 느끼게 위력 순찰하고 언론에도 잡혀도 문제없음'이라는 취지의 말도 했다고 적어 놨다.
이에 관해 이 씨는 "TV에 나와도 괜찮다. 무장한 채로 총기를 노출하는 것도 괜찮다는 의미로 저런 말씀을 한 걸로 기억한다"고 설명했다.
그밖에 이 씨의 기록에는 '설 연휴 지나면 괜찮아진다', '헬기를 띄운다. 여기는 미사일도 있다. 들어오면 위협 사격하고 부숴버려라'라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 '부숴버려라'라는 표현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이 들어오는 것에 관해 얘기하는 중에 썼다고 한다.
다만 이 씨는 윤 전 대통령이 '넘어오면 총으로 쏴버려라'라고 말한 것은 듣지 못했다고 했다.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 이광우 전 경호본부장이 소총을 휴대해 위력 순찰을 하겠다고 말한 것은 듣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이 씨는 또 "경호처가 더 낫다는 걸 말씀하시기 위해 '경찰들은 총기 지정이 안 된다. 경호처 직원들은 개인 총기를 소지하고 있으므로 경찰과 경호처는 수준이 다르다. 경찰 100명이 와도 경호처 1명을 못 당해낸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이어 "처음에 대화를 풀어갈 때 좌파·우파 정권 얘기를 하면서 정책적 설명을 했다"며 "그다음에 호남 사람들은 자식 잘되기 좋아하면서 대기업 잡는 민주당을 찍는다고 약간 유머스럽게 얘기하기도 했다. 한 시간 정도는 그런 얘기를 풀어갔다"고 부연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이 씨가 해당 메시지를 4차례에 걸쳐 복기한 이유를 물으며 신빙성을 문제 삼았다. 또 경호처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한 자리였을 뿐 체포영장 집행에 대비해 지시를 내리거나 체포 저지를 독려하기 위한 자리는 아니지 않느냐고 묻기도 했다.
또 체포영장 집행 저지가 불법이어서 지시를 이행하지 않으려 했다는 이 씨를 향해 "경호관들은 영장 불법 여부를 판단할 법적 권한은 가지지 않았는데, 집행을 저지하다 형사 입건되면 수사를 받아야 하고 경제적 문제가 있으니 겁이 나서 임무를 수행하지 않은 건 아닌가"라고 추궁했다.
이에 이 씨는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 된다. 만약 대통령이 옳았고 내란이 아니라고 판정이 되면 저는 이런 진술을 한 것에 대해 법적 책임을 받지 않겠나. 제 양심에 따라서 한 행동"이라고 답했다.
sae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