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서울역 3번 출구 지하도에서 박아론(42) 경위가 침낭 속 노숙인의 의식을 확인하고 있다. /임희재 기자
“아저씨, 아저씨 괜찮으세요?”
지난 20일 오전 9시 50분, 서울역 3번 출구 계단 아래. 침낭 속 한 남성이 미동도 없이 웅크리고 있었다. 아침 기온이 영하로 떨어졌던 탓에 서울역파출소 소속 박아론(42) 경위가 빠르게 다가가 어깨를 약 5초간 두드렸다. 천천히 눈을 뜬 남성은 손만 휘저었고, “어…” 하며 희미한 소리를 냈다. 박 경위가 생수를 건네자, 그제서야 몸을 움
체리마스터pc용다운로드 직였다.
박 경위는 “겨울철에는 추위로 노숙인 면역력이 약해지고 갑자기 사고가 날 수 있다”며 “의식이 있는지 매일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역 주변은 가장 많은 노숙인이 머무는 곳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의 거리 노숙인은 1349명인데, 이 가운데 서울역 인근 노숙인이 145명이다. 박 경위는 이곳에서 전국 유
모바일바다이야기 일의 ‘노숙인 전담 경찰관’을 맡고 있다. 2020년 2월부터 5년째다. 노숙인으로 시작해 노숙인으로 끝나는 그의 하루를 따라가 봤다.
20일 서울역 4번 출구 박아론(42) 경위가 노숙인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 /임희재 기자
손오공릴게임이날 오전 9시 46분쯤 서울역 2번 출구 앞 파출소를 나와 순찰에 나선 박 경위가 가장 먼저 향한 곳은 ‘서울역 우체국 앞 지하보도’였다. 날이 추워지면서 지상에 있던 노숙인들도 모두 지하로 자리를 옮겼다.
지하보도 가운데 점자 블록을 기준으로 왼편은 시민들의 통행로, 오른편은 노숙인의 생활 공간으로 나뉘어 있었다. 바닥에는
릴짱릴게임 성인 몸길이만 한 종이박스가 깔려 있었다. 그 위로는 침낭이나 이불, 형형색색의 여행용 가방이 뒤섞여 있었다. 박 경위는 바닥에 누워 있는 사람들의 의식을 일일이 확인했다. 작은 숨소리만 돌아왔다.
지하보도에서 나와 길 건너 서울역 4번 출구 쪽으로 가자 분위기가 달라졌다. 아침 10시부터 노숙인 3명이 둘러앉아 과자에 소주를 마시고 있
릴게임몰 었다. 이들 가운데 한 명은 박 경위를 보자마자 “나오셨습니까?”라며 친근하게 인사를 건넸다. 이내 “문제되지 않게 적당히 잘 마시겠다”고 했다.
박 경위는 인사를 나눈 노숙인을 ‘대장’ 노숙인이라고 귀띔했다. 4번 출구 근처에서 문제가 생기면 박 경위에게 바로 연락해 상황을 알려준다고 했다.
휴대전화를 가진 노숙인도 많아 박 경위는 100여명의 전화번호를 저장해두고 있다. 대장 노숙인처럼 모두 일이 생기면 상황을 알려온다고 했다. 박 경위가 단순히 노숙인을 관리하는 게 아니라 일종의 협력 관계인 셈이다.
박아론 경위가 서울역파출소 앞에서 노숙인들과 사진을 찍고 있다. /박아론 경위 제공
오전 10시부터 지하보도 청소가 시작되자, 하나둘 자리를 비켜줬다. 호스에서 나온 물과 밀대가 빠르게 지하도 바닥을 지나갔다. 청소 노동자는 “예전엔 노숙인 짐에 오물까지 있어 참 고됐는데, 요즘은 바로 자리도 비켜준다”고 했다.
하지만 여전히 자리는 노숙인들에게 가장 예민한 문제였다. 이날 서울역 계단 앞에서 졸업 작품을 촬영하는 대학생들이 있었다. 노숙인 3명은 박 경위를 보자마자 “저 학생들이 공간을 침범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박 경위가 노숙인들을 “00 아저씨” “00 누나”라고 부르며 다독이고 나서야 분위기가 누그러졌다.
서울역 뒤편에는 노숙인 텐트가 일렬로 늘어서 있었다. 대부분 비어 있었다. 낮 시간엔 서울역 광장에 모여 생수나 핫팩 같은 물자를 받았다가, 밤이 되면 각자의 자리로 돌아간다고 박 경위는 설명했다. 그러면서 “노숙인들이 기본적으로 사람을 그리워한다”고 말했다.
20일 서울역 공공 일자리에 지원한 노숙인이 서울역 광장을 청소하고 있다. /임희재 기자
순찰은 1시간가량 이어졌다. 한 명씩 건강 상태도 확인하느라 시간이 길어졌다. 1호선 개찰구 앞에서 한 노숙인이 다리를 긁고 있었다. 다리에 생긴 상처 위로 딱지가 앉아 있었다. 박 경위가 “다음 주에 차로 병원까지 데려다줄 테니 꼭 같이 가자”고 하자, 노숙인은 고개만 끄덕였다.
박 경위는 “노숙인이 겨울나기를 위해 옷을 두껍게 껴입다 보니 상처나 이런 것을 알아채기가 힘들다”며 “이것저것 모으는 노숙인의 특성상 파상품 위험이 있어 더 신경 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경위는 하루에 3~4번씩 서울역 주변 순찰을 반복한다. 지겨울 법도 하지만, 사회로 돌아가는 이들을 보며 박 경위는 힘을 얻는다고 했다. 그는 “코로나 사태 때는 노숙인도 더 많고 서울역 주변 환경도 열악했다”며 “지금은 공공 일자리에 참여해 환경 미화 활동을 하는 노숙인이 생기면서 나아졌다”고 했다.
서울역 광장 구석구석에 노란색 또는 파란색 조끼를 입고 길거리를 청소하고 있는 이들이 눈에 띄었다. 한국철도공사의 지원금을 받고 환경 정비 업무를 하며 사회 복귀를 준비 중인 노숙인들이었다.
서울역 노숙인을 돕고 있는 이영민(41) 다시서기 희망지원센터 사회복지사는 “공공 일자리로 시작해 호텔리어가 된 노숙인도 있다”며 “노숙인이 다시 사회로 돌아갈 수 있도록 애쓰는 이들이 많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