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에서 지휘자 크리스티안 틸레만이 단원들과 공연 중인 모습. 임형택 기자
브루크너의 교향곡 전곡은 그 각각이 숲이자 성당이다. 그것은 집단적 열락을 안겨주는 종교적인 체험이기도 하고, 호젓한 산책길처럼 내밀하며 개인적인 체험이기도 하다.
크리스티안 틸레만은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뮌헨 필하모닉, 빈 필하모닉 등 가장 독일-오스트리아 레퍼토리에 정통한 악단들과 함께 브루크너 교향곡을 연주해 왔다. 빈필을 지휘한 2023년의 브루
야마토게임 크너 교향곡 전곡(11곡) 영상물은 브루크너의 세계에 대해 오늘날 가장 정통적인 레퍼런스로 손꼽힌다.
그 빈 필과 틸레만이 20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올해 방한 마지막날 연주에서 브루크너 교향곡 5번 B플랫장조 단 한 곡을 들고 왔다. 2019년 브루크너의 가장 ‘확장된’ 교향곡인 8번 C단조로 잊히지 않는 감동을 준 뒤 6년 만
바다이야기오리지널 이다.
악단이 입장하자 19일 슈만과 브람스 교향곡 연주와 달리 무대가 꽉 찼다. 악보에 표시된 호른 4대, 트럼펫 3대, 트럼본 3대보다 늘어난 호른 6대, 트럼펫 4대, 트럼본 4대로 증강된 금관이 눈에 띄었다.
지난 20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빈
모바일바다이야기하는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에서 지휘자 크리스티안 틸레만이 연주를 마치고 관객들을 바라보고 있다. 임형택 기자
곡이 시작되자 과연 현악에서부터 틸레만과 브루크너가 소환하는 풍성한 양감이 귀를 압도해 들어왔다. 수많은 다른 연주가 그 양(量)만을 보여준다면 틸레만이 불러낸 숲은 그 전경이 한눈에 들어오
손오공게임 는, 양감을 넘어 두께까지 측정되는 해상도 높은 현이었다. 금관의 번쩍임이 햇살처럼 그 숲 위에 투영되었다. 금관의 미세 실수들이 귀에 잡혔지만 어떤 실황 연주에서나 마주칠 수 있는 부분들이다.
동기와 주제들이 첩첩이 쌓이고 클라이맥스들이 능선처럼 중첩되면서 그동안 음원과 영상으로 만났던 틸레만 제(製) 브루크너의 매력들이 더 손에 잡힐
손오공릴게임예시 듯 호흡되기 시작했다. 그의 브루크너는 종종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한편으로는 규범적이고 종교적이라는, 한편으로는 규범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주관적으로 미화된 사운드를 만들어낸다는 평가다.
큰 틀에서 그는 규범적이며, 이는 이날 연주에서도 뚜렷했다. 브루크너가 설정한 거대 규모의 음향적 성당이 큰 틀에서 완벽한 밸런스를 갖추도록 틸레만은 세부를 조정해 나갔다. 그러나 그 세부에서는 투명함과 윤기, 다양한 색채의 미감이 흘렀다. 특히 관악의 솔로들에서 연주자가 정형에 빠지지 않고 개성적인 색채를 부여하도록 했으며, 그 색깔은 전체의 밸런스에 완전히 녹아들었다.
브루크너의 교향곡 속에 울려퍼지는 팀파니는 전날 슈만과 브람스보다 한층 더 본능적인 청각적 쾌감으로 귀에 달라붙었다. 금관이 증강된 만큼 팀파니도 증강된 부분이 있었다. 1악장과 4악장 마지막 부분의 총주에서 다른 타악기 주자가 가세해 음량을 더하도록 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커진 음향에는 감수해야 할 부분도 있었다. 1층 중간 부분에서는 각 악장 클라이맥스의 총주 부분에서 음량의 과포화가 느껴졌다.
브루크너 교향곡에서 틸레만이 가장 자유로운 해석을 선보이는 부분은 스케르초 악장들이다. 이날 교향곡 5번의 스케르초도 민활한 템포의 가속과 감속으로 브루크너 특유의 다이내믹을 한껏 강조했다. 악단은 지휘자의 손끝에 바로 반응한다는 느낌을 넘어 그의 설계를 미리 외우고 반응한다는 느낌이었다. 악장은 틸레만의 깊이 누르는 브레이크 페달과 함께 호쾌하게 끝났다.
이 교향곡의 4악장에서 종종 감상자를 아연하게 만드는 장면은 앞선 악장들의 주제들이 회상되는 사이 클라리넷이 솔로로 반음계적인 스타카토 악구를 연주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새소리를 연상시키는 이 부분에서도 온화하면서도 재기 넘치는 표정이 바로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이어지는 금관의 꽉찬 코랄도, 현악이 주도하는 푸가도 완벽하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힘을 쌓아나가는 조형미는 ‘말해 뭐해’ 싶을 만큼 일품이었다. 틸레만은 피아니시모에서 거의 주저앉다시피 몸을 낮추면서 섬세하게 음량을 조절해갔다.
마지막 화음이 거대한 제례의 마지막처럼 공간을 채우고 빠져나갔지만 지휘자의 지휘봉은 곧바로 내려오지 않았다. 광대한 격정과 기원과 상상이 감각계에서 기억의 일부로 이동한 순간의 침묵은 그 제례의 일부였다. 예술의전당에 모인 청중들은 그렇게 요구된 침묵에 잘 응답했다. 거듭된 커튼콜에 틸레만은 파안(破顔)이라고 할 만한 득의만만한 웃음으로 응답했다. 악단과 객석이 함께 만들어낸 공연의 완성도를 웅변하는 표정이었다.
유윤종 음악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