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2025.11.11/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서울=뉴스1) 구진욱 기자 = 서울시의 대표 청년정책인 '청년수당'이 민선 8기 들어 단순한 현금성 복지사업을 넘어 '성장 지원 체계'로 완전히 전환됐다. 청년의 진로탐색, 자존감 회복,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구조적 프로그램을 본격 도입하며 정책의 질적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청년수당 참여자는 총 2만2428명으로, 이들 중 4129명이 성장지원 프로그램 154회에 참여했다. 시는 지난 2023년부터 취·창업 역량 강화
야마토게임예시 중심의 프로그램을 도입해 '정책박람회', '기업탐방', '멘토링' 등 2만6545명의 청년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해에는 서울산업진흥원(SBA), 서울시 일자리카페, CJ 등 민간기업과 협력해 취업 특화 과정을 신설했고, 올해부터는 장기 멘토링과 진로단계별 특화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청년수
바다이야기게임2 당 참여자의 취업 성공률은 2020년 52.8%에서 2023년 62.9%로 10.1%포인트(p) 수직 상승했다. 구직활동 참여율(61.3→67.2%)과 참여 전후 최근 한 달간 일한 비율 역시 8.8%p(43.5→52.3%) 높아지는 등 실질적 고용 성과로 이어졌다.
특히 참여자들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수당이 목표 달성에
바다이야기비밀코드 도움이 됐다'는 응답은 2022년 81.4%에서 2024년 95.5%로 높아졌다.
이 같은 성과는 사업 구조 전환이 핵심으로 꼽힌다. 과거(2016~2021년) 청년수당은 '졸업 후 2년 이내 미취업자' 등 제한적 요건 하에서 현금만 지급됐다. 사용 내역 모니터링이나 성장 지원 체계가 없어 '현금 복지' 논란도 적지 않았다.
온라인릴게임하지만 민선 8기 들어 서울시는 △졸업 후 2년 제한 폐지 △고립·은둔 청년과 '서울런' 참여자(한부모·학교밖청소년·다문화·국가보훈대상자 등) 우선 선발 △제대군인 지원 연령 상한 연장 등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
또한 현금 사용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2023년부터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모든 증빙을 디지털로 관리하
바다이야기꽁머니 고 있다. 2024년에는 12만 건 전수 모니터링을 실시해 현금 사용률을 39%에서 18%로 낮췄으며, 클린카드 이용률은 82%로 상승했다. 과도한 현금 사용자는 표본조사를 통해 사후 점검하는 등 관리 체계도 강화됐다.
정책의 질적 개선도 이어졌다. 취업에 성공한 청년에게는 단일 지급이 아닌 '남은 수당의 절반'을 취업성공금으로 추가 지급해 동기를 부여하고, 자기활동기록서 제출 횟수를 2회에서 6회로 확대했다. 올해부터는 '자기성장기록서'로 전환해 청년이 스스로 성장과 변화를 정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청년과의 소통 방식도 변화했다. 단순 안내 중심의 오리엔테이션을 대신해, 2024년부터는 '청년정책박람회'와 통합 운영해 쌍방향 소통을 강화했다. 박람회 참여 인원은 2023년 1854명에서 올해 9158명으로 급증했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청년수당이 사업 목표에 맞게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은 2022년 76.8%에서 2024년 86.9%로, 서울시에 대한 신뢰도는 70.7%에서 81.5%로 상승했다.
청년들의 체감 변화도 크다. 청년수당으로 △국제대회 준비(국제 바디페인팅 대회 참가) △대기업 이직 △멘토링 기반 진로 전환 △대학원 진학 등 다양한 성취 사례가 이어졌다.
한 참여자는 "수당 덕분에 조급함이 줄고 면접에서 진정성을 보일 수 있었다"며 "첫 월급 전까지의 생활을 버티게 해준 네잎클로버 같았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청년수당은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청년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성장 발판이자 심리적 안전망으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청년의 자립과 도전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청년수당 포스터
kjwowen@news1.kr 기자 admin@seastorygame.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