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이방에서 새 주인을 기다리는 강아지들 [촬영 박주영]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저희가 인스타에 아이들 미용하고 나서 예뻐진 사진 많이 올리거든요. 유기 동물 입양에 관심 있는 분들이 많이들 봐주셨으면 좋겠어요."
지난 27일 찾아간 대전 유성구 금고동 대전동물보호센터.
대전동물보호센터는 유기동물의 적정한 보호와 관리를 통해 동물 복지를 지원하고 입양을 활성화한다는 취지로 2008년부터 유성구 갑동의 컨테이너 건물에서 운영돼 왔다.
2021
우주전함야마토게임 년에는 금고동에 새로 건물을 지어 입양 대기실을 비롯해 보호실, 동물병원, 동물운동장 등을 갖추고 유기견과 유기묘 등을 임시 보호하고 있다.
이날 센터에 들어가자마자 보이는 맞이방에는 입소한 지 2주밖에 지나지 않은 생후 2개월 된 강아지들이 새로운 주인을 기다리고 있었다.
사람이 오니 반갑다고 유리문에 매달려 연신
야마토게임 꼬리를 흔드는 모습에 절로 탄성이 나왔다.
시 동물보호과 김혜경 주무관은 "언제든 맞이방에 오면 아이들을 볼 수 있고, 입양 상담은 사전 예약을 통해 가능하다"면서 "보통 평일에는 하루 2∼3명, 주말에는 평균 30∼40명 방문하시는 것 같다"고 전했다.
동물보호센터는 유기 동물로 확인되면 먼저 입소 공간에서 전염병
릴게임사이트 검사를 거친 뒤 수의사가 질병 유무와 추정 나이 등을 따져 새내기실로 보낸다. 이어 열흘의 공고 기간에 주인이 찾아가지 않는 개는 센터가 소유권을 넘겨받아 입양을 보내거나 계속 보호하고 있다.
센터가 문을 연 이래 유기동물 수용 규모(250마리)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을 정도로 방은 항상 포화 상태에 있다.
김 주무관
모바일야마토 은 "수용 공간이 한정적이어서 새내기실은 새로 들어온 애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비워줘야 한다"며 "센터에서 장기 보호하는 애들도 많다"고 전했다.
고령견과 놀아주는 자원봉사자들 [촬영 박주영]
고령견을 수용하는
사이다쿨바다이야기게임 사랑방에는 13살 몰티즈와 10살 포메라니안 등 사람으로 치면 60이 넘은 '할머니' 개 7마리가 자원봉사자들의 손에 몸을 맡긴 채 장난을 치고 있었다.
낯선 사람이 다가오자 이를 드러내며 그르렁거렸지만, 봉사자들은 그런 모습조차 귀엽다는 듯 가만히 털을 쓰다듬었다.
고등학교 3학년 정지안(19) 양은 "수능 끝나고 가장 하고 싶었던 일이 유기 동물 봉사활동이었다"며 "친구들이랑 같이 왔는데 노는 거 보니까 정말 키우고 싶고 집에 데려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자원봉사자들은 밥을 먹이고 운동을 시키거나 놀아주고 사육장을 청소하는 등의 활동을 한다. 오전에 10명, 오후에 6명 정도 신청받고 있는데 경쟁률이 높아서 빠르게 마감된다고 김 주무관은 설명했다.
그는 "여기는 한 번 왔다 가시는 분은 거의 없다"며 "정기적으로 봉사를 오시는 분들이 많은데, 얼마 전에도 자꾸 눈에 밟힌다며 예쁘고 건강한 애도 아닌데 데려가시더라"고 전했다.
얼마 전에는 4년 전 센터 개소 당시 들어왔던 7살 고령의 중성 수컷 잡종견이 입양에 성공했다.
김 주무관은 "성격이 좋고 사람을 잘 따르는 아인데, 다들 정이 많이 들어 퇴소할 때 직원들이 모두 나가 박수를 쳐 줬다"며 "주기적으로 봉사를 오셨던 분이 입양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유선암에 자궁암까지 겹쳐 배가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등 심하게 앓았던 고령의 개도 어려운 수술을 마친 뒤 타지역에 사는 자원봉사자 집으로 입양을 가서 회복 중이라고 김 주무관은 전했다.
사랑방의 고령견들 [촬영 박주영]
이런 이유로 인해 단지 아프거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안락사 대상으로 결정하기도 쉽지 않다.
지역에 동물보호시설은 이곳 한 곳뿐으로 수용 능력에 한계가 있다 보니 입양되지 못한 동물은 결국 안락사시키는 수밖에 없다.
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유실·유기 동물 수는 1천591마리로, 이 가운데 38%는 주인을 찾았고 33%는 분양됐다. 자연사(11%)하거나 보호소에 남은 동물(1%)을 제외한 나머지 17%(265마리)는 안락사됐다. 올해도 지난달까지 들어온 1천236마리 중 204마리(17%)를 안락사시켰다.
10명의 사양 관리사가 자신들이 담당하는 동물의 성향을 파악해 공격성이 강하거나 아픈 동물들을 순서에 맞게 리스트를 짜 개체수를 조절하고 있지만, 그런 일을 하다 보면 트라우마로 남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시는 자치구별로 긴급 동물보호시설을 설치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서울이나 경기지역의 경우 입양 안테나 센터라 불리는 입양지원센터가 있어 피학대 동물을 긴급 격리 조치할 수 있고, 입양 지원 기능도 하고 있다.
이요안나 시 동물정책팀장은 "자치구에 보호시설이 없다 보니 애견호텔에서 임시로 수용하다 어쩔 수 없이 동물보호단체 등에 돌려보내는 경우도 많다"며 "펫샵이나 동물 카페와 같은 형태로 입양지원센터를 운영하면서 긴급 동물 보호가 필요할 경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 시민들의 반응은 물론 접근성도 좋아 입양률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가 종일 이어진 탓에 이날 입양 상담은 한 건도 없었지만, 김 주무관은 사진을 전공한 자원봉사자가 예쁘게 찍어준 동물 사진을 SNS에 올리며 홍보하는 일에 여념이 없었다.
그는 "사양관리사들이 아이들 별로 파악한 성향을 입양을 원하는 분들에게 상세히 알려주고, 키울 만한 곳은 있는지 가족 동의는 모두 받았는지 등을 전부 확인한 뒤에야 입양을 진행한다"며 "우리 애들이 얼마나 사랑스러운지 널리 알려서 더 많은 유기 동물이 입양 가정을 찾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입소한 유기동물 설명하는 김혜경 주무관 [촬영 박주영]
jyou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