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일 박상우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공간정보위원회 회의를 열고 '2025년 국가공간정보 정책 시행계획'과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고도화 방안'을 심의·의결했다/사진제공=국토부
정부가 디지털 트윈국토를 조기에 실현하는 차원에서 올해 58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공간정보 정책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최근 잇따르는 싱크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고도화 사업도 포함됐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2일 밝혔다.
올해는 전체 1209개 사업에 약 5838억원 규모의 공간정보 정책이 추진된다. 중앙정부가 104개 사업에 약 381
하이록코리아 주식 9억원, 지자체가 1105개 사업에 약 2019억원을 투자한다.
이번 계획은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의 4대 전략 아래 연차별 실적을 점검한다. 디지털 트윈 구축, 플랫폼 고도화, 인재양성, 기술개발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게 핵심이다.
구체적으로 4대 전략은 △디지털 트윈 구축·활용체계
오리엔탈정공 주식 마련 △공간정보 유통·활용 활성화 △산업 활성화 △정책 기반 마련 등이다. 디지털 트윈 구축·활용체계 마련을 위해 데이터(DB) 구축과 표준 마련에 3993억원, 공간정보 유통·활용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플랫폼인 K-GeoP과 대민 서비스 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 고도화 등에 1095억원 규모 사업이 각각 추진된다.
산업 활성화
릴게임먹튀검증 및 정책 기반을 마련하는 '공간정보 산업조사' '보안심사 및 안심구역 운영 사업'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기술개발' 등에 750억원 규모 사업이 추진된다.
대용량 3D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와 활용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2단계 고도화 계획도 추진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AI) 대화형 서비스인 Geo-A
무료야마토 I의 '똑똑한 공간정보 제공', 드론 촬영 영상을 AI가 분석해 불법 건축물, 쓰레기 투기 등의 현장 지원을 돕는 '공간정보 자동 분석' 서비스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특히 지하공간통합지도에 지반침하 이력, 공동정보, 건설공사 정보, 홍수·범람 이력 등 데이터를 연계한다. 지반 침하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 지반 침하 위험 분석에 참고할 수 있
사이다 릴게임 도록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고도화한다.
아울러 지하공간 정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물 실측을 위한 예산 지원도 지속 추진하기로 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로봇·도심항공교통(UAM) 등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고정밀 3차원 공간정보가 먼저 구축돼야 한다"며 "디지털 트윈국토 등 공간정보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을 "이라고 밝혔다.
이정혁 기자 utopia@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