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럴 커들 미 해군참모총장이 14일 국방부 기자단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2025.11.16. (미국 해군 제공)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대릴 커들 미 해군참모총장이 "한국의 조선 능력은 미국의 함정 건조 역량 강화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형 핵추진잠수함도입은 '중국 견제용'임을 강조하며 한미가 미국의 '핵심 경쟁적 위협(pacing threat)'인 중국에 대한 '공동의 목표'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커들 총장은 지난 14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국방부 기자단과 만나 "우리는
릴박스 함정 건조를 위한 조선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으며, 한국이 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리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한미는 같은 날 공개한 한미 정상회담에서의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담은 공동 설명자료(조인트 팩트시트)에 한미의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사업과 관련해 "한국
릴게임하는법 내에서의 잠재적 미국 선박 건조를 포함해, 최대한 신속하게 미국의 상업용 선박과 전투수행이 가능한 미군 전투함의 수를 증가시킬 것"이라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미국의 상선과 군함을 건조하는 방안이 곧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커들 총장은 다만 미국 선박의 한국 건조를 위해서는 '존스법'과 '반스-톨레프슨법'의 개
릴게임야마토 정을 통한 규제 해제 문제, 의회 설득 등의 사안을 해결해야 한다며 "세부 사항을 조정해야 할 부분이 분명히 있다"라고 설명했다. 존스법은 미국 상선의 해외 건조를, 반스-톨레프슨법은 군함의 해외 건조를 금지하고 있다.
한국형 핵추진잠수함의 국내 건조 문제와 관련해 커들 총장은 "(핵잠의 건조 장소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백악관에 문의해
손오공릴게임 야 한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핵잠의 건조 장소로 지목했던 미국의 '필리조선소'를 언급하며 "상당한 생산 능력과 시설을 갖춘 이곳을 어떻게 활용할지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 한화가 미국을 어떻게 지원하게 될지도 조율이 필요한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필리조선소에서 구체적으로 어
모바일바다이야기하는법 떤 함정을 건조하게 될지 확정된 바가 없으며, 앞으로 더 논의하고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고도 덧붙였다. 이 인터뷰가 진행된 시점이 한미의 팩트시트 발표와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의 "핵잠 건조 장소는 한국임을 전제로 한미가 협상을 해온 것"이라는 발언이 나온 날과 맞물려 있어 구체적인 답을 피한 것으로 보인다.
커들 총장은 미국의 조선 능력 부족 문제를 언급하면서 한국 조선소의 역량을 배워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한국 조선소의 기술·자율화 시스템·작업 공정·공급망 운영 상황을 직접 볼 것"이라며 "이번 방문은 미국 조선소 운영 개선에 참고할 내용을 배우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날인 15일 한화오션의 거제사업장과 HD현대중공업의 울산 본사를 방문했다.
"韓 핵잠, 중국 억제에 활용해야…中 관련 한미의 '공동 목표' 있다"
한국의 핵잠 도입과 관련해 커들 총장은 핵잠이 중국 견제를 위해 활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커들 총장은 "핵잠을 중국을 억제하는 데 활용한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예측"이라며 "한국도 미국의 '핵심 경쟁적 위협'인 중국에 대한 우려를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한미가 중국과 관련된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한국의 핵잠 도입을 승인한 가장 중요한 이유가 '대중 견제'에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떨어져 북한이나 중국 쪽 잠수함을 추적하는 데 제약이 있다"라며 "핵잠을 여러 척 건조해 동해와 서해에서 방어 활동을 수행하면 미군의 부담도 줄어들 것"이라고 발언한 것이 미국을 움직인 결정적 요인이라는 해석도 가능해 보인다.
커들 총장은 중국이 남중국해, 동중국해의 '내해화'에 이어 서해에서도 합의되지 않은 구조물 설치를 통해 영향력을 넓히는 '회색지대(gray zone) 전술'을 구사하고 있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중국의 회색지대 활동은 전 세계적으로 우려되는 사안"이라며 "한국과의 파트너십이 더욱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행태를 방치하면 비정상적 행동이 정상으로 굳어지는 위험이 있다"며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라는 접근법이 이에 대응하기 위해 맞는 전략이라고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북한이 올해 해군력 강화 행보를 이어가는 것과 관련해선 "미국에 위협이 되는 수준은 아니지만, 한국에는 분명히 역내 위협을 가할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전력 강화를 위한 러시아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서는 "매우 면밀히 살펴봐야 할 사안"이라며 한국과의 정보 공유·상황 인식 협력을 강조했다.
한미일 3국 해군 협력에 대해서는 "현재 3국 협력은 매우 공고하며 계속 강화되고 있다"면서 "3국이 긍정적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yoonge@news1.kr 기자 admin@seastorygame.top